본문 바로가기
헬시드림 | 눈 건강

👁️ 뿌옇게 보이거나, 중심이 안 보인다면? '백내장과 황반변성의 차이'

by 헬시드림 2025. 4. 18.

 

황반변성과 백내장의 시야 차이와 주요 증상을 비교한 인포그래픽 이미지

뿌옇게 보이거나, 중심이 흐려지거나 — 시야의 변화는 눈이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. 황반변성과 백내장은 증상이 다르기에 조기 구분이 필요해요 👁️🔍

 

이 전편에서 백내장에 관한 이야기를 다뤘었는데요

이번엔 백내장과 황반변성에 관해 알아볼 시간입니다!

 

황반변성과 백내장의 차이, 정확히 알아두세요

 

“눈이 침침하고 안개 낀 것처럼 보여요.”
“가운데가 잘 안 보이는데 주변은 보이는 것 같아요.”
“눈부심이 심하고, 밤에 운전하기 어려워요.”

혹시 이런 증상이 있다면
📌 “백내장” 또는 “황반변성”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.
두 질환 모두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,
그 원인과 치료법은 완전히 다릅니다.

오늘 헬시드림에서는
✔ 황반변성 vs 백내장의 차이,
✔ 각각의 증상과 치료법을
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.


🧠 1. 두 질환의 핵심 차이 요약

항목 백내장 황반변성
🔍 원인 수정체 혼탁 (빛의 통과 방해) 망막 중심부 손상 (황반 기능 저하)
👁️ 주된 부위 눈 속 ‘수정체’ 눈 뒤쪽 ‘망막의 황반’
🧓 발생 연령 50세 이후 점진적 증가 60세 이후 급증, 노인성 질환
🧪 진행 속도 서서히 (수년 단위) 건성: 서서히 / 습성: 급속히 진행
🔬 치료법 수술로 완치 가능 (인공 수정체 삽입) 진행 억제 목적 (레이저, 주사 등)
🌫️ 증상 시야 전체가 흐릿하고 뿌연 느낌 중심 시야만 흐리거나 왜곡됨
💡 예시 사물이 흐리게, 빛 번짐, 야간 시야 저하 글자가 비뚤어지고, 얼굴이 일그러져 보임

🔍 2. 백내장의 특징

✔ 수정체가 탁해져서 발생하는 질환

주요 증상

  • 시야 전체가 뿌옇고 침침함
  • 빛 번짐, 눈부심
  • 색감이 바래 보임
  • 가까운 시야가 더 잘 보이는 착각
  • 밤에 운전 시 시야 저하

진단 & 치료

  • 세극등 검사로 혼탁 확인
  • 백내장 초음파 유화술로 수술적 치료 (대부분 완치 가능)
  • 인공 수정체 삽입 후 시력 회복

🔍 3. 황반변성의 특징

✔ 망막 중심인 ‘황반’이 변성되어 시야 중심을 잃는 질환

주요 증상

  • 중심 시야만 흐리거나 보이지 않음
  • 글자가 찌그러져 보임
  • 얼굴이 일그러져 보이거나 선이 굽어 보임
  • 시야의 ‘중앙’에 암점(검은 점)이 생김
  • 색감 인식 저하

종류

종류 설명
건성 가장 흔함 (90%), 느리게 진행, 시야 흐림
습성 빠르게 중심 시력 상실, 혈관 누출 발생

진단 & 치료

  • 황반 검사 (Amsler Grid), 형광 안저 촬영
  • 완치는 어려우며 진행 억제가 목적
  • 항혈관내피성장인자(VEGF) 주사 치료
  • 영양소 섭취 (루테인, 아스타잔틴 등) 병행

🧪 4. 시야 비교 이미지 설명 (텍스트 기반)

백내장 시야 황반변성 시야
전체가 뿌옇고 색감이 옅어짐 중심만 흐리거나 사라짐 (주변은 선명)
빛 번짐으로 눈부심 심함 글씨가 구부러지거나 중간이 잘 안 보임

💙 헬시드림 정리 한마디

백내장 황반변성
✔ 수술로 완치 가능 ✔ 진행 억제만 가능
✔ 시야 전체 흐림 ✔ 중심 시야만 손상
✔ 50대부터 흔함 ✔ 60대 이후 급증

👉 둘 다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이지만, 치료법과 예후는 완전히 다릅니다.
중요한 건 조기 발견과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에요.


📌 이런 분들은 꼭 검진 받아보세요

  • 최근 시야가 흐릿해지고 초점이 잘 맞지 않음
  • 밝은 빛에 눈이 부셔 외출이 불편함
  • 중심에 점이 보이거나, 글씨가 일그러져 보임
  • 노년기 부모님이 독서나 TV 시청을 힘들어함